|
|
 |
|
|
 |
|
미국의 Big3(GM, FORD, DAIMLER CHRYSLER사)가 ISO 9000의 규격 및 요구사항에 필요한 사항을 추가 하여 규격화한 품질시스템으로서 자동차의 안전, 신뢰성 확보 등을 위해 자동차 부품 납품업체에게 인증 획득 을 요구하고 있다. 또한, 대부분의 트럭생산업체(Freightliner, Mack Trucks, Volvo GM Heavy Truck, Navistar International Transportation, PACCAR)에서 도 QS-9000 품질시스템을 채택하기로 합의 하였다. |
|
 |
|
QS-9000은 자동차에 관련된 생산 , 서비스, 부품, 자재의 내외부 공급자들에 대하여 Big 3사/트럭제조사/기타 외주고객사의 기본적인 품질시스템 기대치를 규정하여 공급자로 하여금 지속적 개선, 결함 예방, 낭비 및 산포 의 방지를 위한 품질시스템을 갖추도록 유도하여 궁극적 으로 고객만족을 보장하기 위한 것이다. |
|
 |
|
QS-9000은 생산 및 서비스 부품, 자재의 내·외부 공급자들에 대하여 Big 3사/트럭 제조사/기타 외주 고객사의 기본적인 품질시스템 기대치를 규정하여 품질요구사항에 적합함을 최종고객 및 공급자 자신의 이익 을 위하여 산포와 낭비를 지속적으로 줄임으로서 고객만족을 보장하고 있습니다. |
|
 |
|
ISO 9001/2 품질시스템 요구사항 이외에도 +α에 해당하는 'BIG 3'의 요구사항은 다시 세 부분(Section Ⅰ,Ⅱ ,Ⅲ)으로 나뉘어 지는데, 'BIG 3'의 관점에서 보면 각각 다음과 같이 설명될 수 있다. |
|

|
Section Ⅰ (기본요건): ISO 9001/2를 기초로 미국 Big3사의 해석 및 보충적 요구사항 양산부품 승인과정, 지속적 개선 및 제조능력에 대한 부문별 지정 요구사항 |
 |
Section Ⅱ (공통요건): BIG 3가 공통적으로 요구하는 사항 |
 |
Section Ⅲ (개별요건): BIG 3 각각이 개별적으로 요구하는 사항 |
 |
경제적 이점 | |
|
ISO 9000 |
|
추가기본사항 |
|
추가공통사항 |
|
개별요구사항 |
l←---------------- Section I ---------------→l |
l←--------------------------- Section II --------------------------→l |
l←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 Section II 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→l |
20개 요건항목 |
|
APQP FMEA MSA SPC |
|
PPAP 지속적 개선 제조 능력 |
|
BIG 3 각사의 요구사항 | |
|
 |
|
참고메뉴얼 6권의 주내용은 QS 9000 품질시스템 심사(평가)점검표(QSA), 제품개발에 대한 품질계획을 사전 에 수립하는 제품품질계획 및 관리계획(APQP with CP), 통계적공정관리(SPC), 계측장비의 유효성을 보장 하기 위한 분석(MSA), 부품을 양산전 고객이 승인하는 절차(PPAP), 설계 및 공정에 있어서의 고장형태 분석 (PFMEA) 등이다. |
|
QS-9000 |
Quality System Requirements (품질시스템 요건) |
Requirement Manual |
APQP |
Advanced Product Quality Planning and Control Plans (사전제품 품질기획 및 관리계획) |
Reference Manual |
FMEA |
Potential Failure Mode and Effects Analysis (잠재적 고장유형 및 영향분석) |
Reference Manual |
QSA |
Quality System Assessment (품질시스템 심사 )Reference Manual |
Reference Manual |
MSA |
Measurement Systems Analysis (측정시스템 분석) |
Reference Manual |
PPAP |
Production Part Approval Process (양산부품 승인절차) |
Requirement Manual |
SPC |
Statistical Process Control (통계적 공정관리) |
Reference Manual | |
|
참고메뉴얼 |
ISO 9001 주요관련요건 |
주요내용 (또는 목적) |
품질시스템 평가(QSA) |
4.17 품질감사 |
QS 9000 인증심사시 평가의 가이드가 되는 표준점검표를 제시 |
사전제품품질 계획 및 관리 계획(APQP with CP) |
4.1 경영책임 4.2 품질시스템 4.4 설계관리 4.9 공정관리 |
1. 초기계획, 설계 및 공정분석 단계에서의 단계적인제품 품질 ...계획활동을 설명 2. 생산단계에서의 산포를 최소화하기 위한 공정분석 및 특성의 .. 모니터링을 위한 도구를 설명 3. 각 활동과 관련된 체크리스트 사례를 제시 |
통계적공정관리(SPC) |
4.9 공정관리 4.20 통계기법 |
공정관리에 통계적 기법을 적용할 수 있도록 4부분으로 설명 1. 지속적 개선과 통계적 공정관리 2. 계량형 관리도 3. 계수형 관리도 4. 공정측정시스템 분석 |
계측시스템분석(MSA) |
4.11 계측장비 |
측정시스템의 분석, 연구를 위한 가이드 |
생산부품승인 절차(PPAP) |
4.4 설계관리 4.9 공정관리 4.13 부적합관리 |
부품 공급자가 고객(BIG 3)에게 부품을 승인받는 절차로, 제출준비요령, 제출요건, 수준등을 안내 |
잠재고장형태 분석(PFMEA) |
4.4 설계관리 4.9 공정관리 |
설계FMEA와 공정FMEA로 나누어 그 적용과 작성 시점, 작성시 고려할 사항등을 설명 | |
|
 |
|
 | | | |